본문 바로가기

틴커캐드

(8)
L293D Dual H-Bridge Motor Driver와 아두이노를 이용한 DC 모터 제어 회로구성 아두이노 + DC모터 + L239D 동작요구사항 아두이노에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는 멈춰있는 상태이다. 시리얼통신을 이용하여 키보드의 ‘+’키를 누르면 속도가 10%씩 증가하고, ‘-’키를 누르면 10%씩 감소하도록 한다. 속도만 제어하는 시스템 → 반(half) H-브리지 → 제어핀 하나만 사용 L293D Dual H-Bridge Motor Driver 핀아웃 핀 이름 핀 번호 기능 Enable 1, 2 1 Input 1, 2(칩의 좌측 입력)를 활성화 Enable 3, 4 9 Input 3, 4(칩의 우측 입력)를 활성화 Input 1/2/3/4 2/7/10/15 디지털 회로에 연결하여 Output 1/2/3/4를 직접 제어 (HIGH/LOW) Output 1/2/3/4 3/6/11/14 모터..
아두이노에서 가변저항을 이용한 DC 모터 속도 제어 회로구성 DC모터 + 가변저항(또는 분압기(Potentiometer, 포텐시오미터)) 동작 요구사항 - 아두이노에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는 멈춰있는 상태이다. - 분압기로 전압을 조정하여 전압이 높아지면 모터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고 전압이 낮아지면 속도가 느려진다. DC 모터 - DC 전원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장치 - 고정자로 영구자석을 사용하고, 회전자(전기자)로 코일을 사용하여 구성한 것으로, 전기자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자력의 반발, 흡인력으로 회전력을 생성 TIP120 - NPN 달링턴 페어 트랜지스터 - 5A 부하 처리에 좋은 특성 : 5V의 이미터-베이스 전압, 60V의 컬렉터-이미터 전압 - 최대 65W 콜렉터 소비전력 및 최대 전류 이득 1000 - 스위칭 및 증폭에 사용..
아두이노와 2개의 7세그먼트를 이용한 카운터 구현 회로구성 • 2개의 7세그먼트 회로 동작 • 2개의 7세그먼트를 이용하여 1~99까지 카운트 할 수 있는 카운터 • 00 → 01 → 02 → … → 98 → 99 → 00 → 01 → 02 → … • 최초 아두이노에 전원이 인가되면 00이 표시된다. Tinkercad 구현 코드설명 전체코드 int btn = 19; // pin A5 == 19 int cur_btn_state = 0; // 현재 버튼 상태 int pre_btn_state = 0; // 이전 버튼 상태 int num1 = 0, num2 = 0; // num1 = 1의 자리 수, num2 = 10의 자리 수 int FND1[7] = {2,3,4,5,6,7,8}; //abcedfg int FND2[7] = {9,10,11,12,13,14,15..
아두이노와 7세그먼트를 이용한 16진수 카운터 회로구성 • 7 세그먼트와 버튼을 아두이노 디지털 핀에 연결 동작 요구사항 • 아두이노에 전원이 인가되면 7 세그먼트는 꺼져있다. • 버튼을 누르면 숫자가 1씩 증가한다. 16진수로 나타내며 F 다음에는 다시 0으로 표시된다. (카운터 기능) 7 세그먼트 동작 • 7 세그먼트(7 Segment)는 7개의 획으로 숫자나 문자를 나타낼 수 있는 표시장치로 FND (Flexible Numeric Display)라고도 한다. • 각각의 획은 LED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일부를 켜고 끄는 것으로 숫자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아두이노 제어 함수 아두이노 보드의 디지털 핀을 제어하기위한 함수 • pinMode() • digitalWrite() • digitalRead()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읽어 오기 위한..
아두이노에서 버튼으로 LED 제어하기 2 '아두이노에서 버튼으로 LED 제어하기'는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또는 버튼을 누르지 않고 있는 동안 상태를 반영하여 LED를 제어하였으나, 이번 실습에서는 버튼을 한 번 누르고 떼는 것을 인지하여 LED를 제어하는 실습이다. 회로구성 '아두이노에서 버튼으로 LED 제어하기'와 동일한 (LED+BUTTON) 회로 구성 동작 아두이노에 전원이 인가되면 LED는 켜져있다. 버튼을 눌렀다가 떼면 LED는 꺼진다. 다시 버튼을 눌렀다가 떼면 LED는 켜진다. 이 동작을 무한히 반복한다. 코드 함수 int get_btn_state() : 버튼의 상태를 받아오는 함수 코드 설명 !digitalRead(btn) : digitalRead함수는 btn 핀의 상태를 LOW 또는 HIGH 값으로 반환함. btn 핀은 P..
아두이노를 이용한 2개의 LED 제어 회로구성 아두이노 3번, 5번 핀에 각각 빨간색, 파란색 LED를 연결하고, 저항은 220Ω을 사용한다. 동작 빨간색 LED ON, 파란색 LED OFF → 0.5초 대기 → 빨간색 LED OFF, 파란색 LED ON → 0.5초 대기 → 빨간색 LED ON, 파란색 LED OFF → 0.5초 대기 → …(무한 반복) Tinkercad 시뮬레이션
아두이노에서 버튼으로 LED 제어하기 회로구성 • 아두이노에 7번핀에 LED를 연결하고, 3번 핀에 택트 버튼(tact button)연결한다. 동작 요구사항 • 최초에 LED는 ON 상태이다.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LED는 OFF가 되고, 버튼에서 손을 떼면 다시 LED가 ON이 되도록 한다. • 버튼의 상태는 0.1초마다 확인한다. LED 동작 • LED(Light Emitting Diode)는 발광 다이오드라고 하며 전류를 가하면 빛을 발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Button 동작 High, Low and Floating • 디지털에서 High는 논리값 1, 즉 회로에서 어떤 지점의 전압이 기준 전압(Vref) 이거나 또는 임계 전압(Threshold, V_HIGH) 이상을 가질 때 논리적으로 High 또는 1이라고 한다. • 이와 반대..
아두이노를 이용한 LED 제어 아두이노란? • 2005년 이탈리아의 IDII(Interaction Design Institutelvera)에서 하드웨어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디자인 작품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게 하려고 고안되었다. • 아두이노는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한 단일 보드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완성된 보드(상품)와 관련 개발 도구 및 환경을 말한다. • 아두이노는 다수의 스위치나 센서로부터 값을 받아들여, LED나 모터와 같은 외부 전자 장치들을 통제함으로써 환경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물건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아두이노 장점 •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쉽게 동작 시킬 수 있다. - 일반적으로 AVR 프로그래밍이 AVRStudio와 WinAVR의 결합으로 컴파일하거나 IAR E.W.나 코드비전(CodeVision)등으로 ..